양장본이 아니면 요즘 책은 대개 본드로만 접착되어 있다. 이른바 '떡제본'된 책들이다.
이런 책을 사면 앞뒤 표지를 여백을 조금 남기고 잘 접어둔다. 끝까지 펼쳐지면 나중에 종이가 한 장씩 떨어져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.
어제 헌책방에서 책 한 권을 샀다. 출판사에 표지 접는 선까지 만들어 두었건만, 그 책의 전 주인은 표지의 엉뚱한 곳에 접힌 흔적을 그것도 반만 남겼다.
아침에 왜 이렇게 했을까 투덜거리며 표지를 다시 접다가, 책을 그만 바닥에 떨어뜨리고 말았다.
표지 한 가운데에 접힌 흔적이 흉하게 남고 말았다.
이런 책을 사면 앞뒤 표지를 여백을 조금 남기고 잘 접어둔다. 끝까지 펼쳐지면 나중에 종이가 한 장씩 떨어져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.
어제 헌책방에서 책 한 권을 샀다. 출판사에 표지 접는 선까지 만들어 두었건만, 그 책의 전 주인은 표지의 엉뚱한 곳에 접힌 흔적을 그것도 반만 남겼다.
아침에 왜 이렇게 했을까 투덜거리며 표지를 다시 접다가, 책을 그만 바닥에 떨어뜨리고 말았다.
표지 한 가운데에 접힌 흔적이 흉하게 남고 말았다.
댓글을 달아 주세요
떡제본? 정말 난감한 경우가 많습니다.
그러게 잘못하면 떡제본 책이 난감한 상황을 만들게 되네요.